창업/기타

지자체 세금계산서 발행 방법 총정리 (고유번호증, 홈택스 입력법, 체크리스트까지)

후운키 2025. 4. 2. 11:24
반응형

관공서, 특히 **지방자치단체(지자체)**와 거래를 하다 보면 “세금계산서는 어떻게 발행하지?”, “지자체도 사업자등록증이 있어?”하는 궁금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자체를 상대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방법부터 고유번호증 개념, 홈택스 입력 요령, 실제 작성 예시발행 전 체크리스트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지자체도 세금계산서를 받을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지자체는 일반 회사처럼 사업자등록증을 갖고 있진 않지만, ‘고유번호증’이라는 별도의 번호를 부여받아 전자세금계산서를 수취할 수 있습니다. 즉, 사업자등록번호 대신 고유번호(예: 123-82-00000) 를 사용하여 홈택스에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면 됩니다.


✅ 고유번호증이란?

고유번호증은 국가기관, 지자체, 비영리단체, 학교, 종교법인 등 사업자가 아닌 기관들이 발급받는 식별 번호입니다.

주로 세금계산서 수취, 세금 신고, 회계처리에 사용됩니다.

 

📌 거래 전 담당자에게 고유번호증 사본을 요청하면 친절히 보내줍니다.


✅ 지자체 세금계산서 발행 절차 (홈택스 기준)

  1. 홈택스 접속 > 로그인
  2.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메뉴
    • [신고/납부] → [전자(세금)계산서] → [세금계산서 작성]
  3. 공급받는 자 정보 입력
    • 등록번호: 고유번호 입력 (예: 123-82-00000)
    • 상호(기관명): 예) 서울특별시장
    • 업태/종목: 공공행정 / 지방행정 등
    • 주소: 지자체 주소 입력
  4. 공급 내용 입력
    • 공급가액, 세액, 공급일자, 품목 등 입력
  5. 발행 및 전송
    • 모든 정보 확인 후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 이메일 또는 나라장터, 이지바로 등으로 자동 전송 가능

✅ 세금계산서 작성 예시

공급받는 자 OO시장
등록번호 123-82-00000 (고유번호)
업태 / 종목 공공행정 / 지방자치
주소 지자체 청사 주소
공급가액 2,000,000원
세액 200,000원
공급자 나의 사업자 정보 (사업자등록번호, 상호, 대표자 등)

✅ 주의사항 체크리스트

✔️ 고유번호증 사전 요청했는가?
✔️ 계약 검수 및 완료 통보 이후 발행했는가?
✔️ 담당자에게 전송 방법(이메일/나라장터 등)을 확인했는가?
✔️ 품목명, 계약일자, 공급일자는 계약서 기준으로 입력했는가?

 

지자체는 통상 검수 완료 후에만 세금계산서 발행이 허용되며, 담당자가 별도 기안을 올리거나 예산집행 승인 절차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꼭 일정과 발행 타이밍을 체크하세요!


✅ 마무리 TIP

  • 지자체는 **공급받는 자명을 '○○시장' 또는 '○○도지사'**로 입력해야 오류가 없습니다.
    예: '김제시청' × → '김제시장' ○
  • 세금계산서 발행 시 문제가 생기면, 홈택스보다는 지자체 회계 담당자에게 먼저 문의하는 게 빠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