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간적 측면
1. 서울의 지리적 중심
- 서울특별시의 중앙부에 자리한 용산공원은 지리적 중심부에 위치하여 북쪽으로는 중구, 동쪽은 성동구, 남쪽은 한강을 마주보고 영등포구와 동작구, 서초구, 강남구와 인접
- 서쪽으로는 마포구와 접하며, 녹사평대로와 원효로의 경우엔 남영역에서 출발하여 원효 대교까지 뻗어있고, 이후 꺾어져 마포대교 방향으로 이어짐
2. 도시계획상 3도심의 중심
- 서울 3대 업무지구인 한양도성 도심(CBD, Central Business District), 여의도(YBD, Yeouido Business District), 강남 도심(GBD, Gangnam Business District) 등 입지의 중심부에 위치
- 용산은 도시계획상 3도심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심의 글로벌 기능을 보완하면서, 업무, 상업·문화, 관광, R&D, 첨단산업 분야 등에서 특화된 광역 고용기반을 창출하고 확산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
3. 남북녹지축과 동서수경축 등 생태 및 경관의 중심
- 북한산부터 관악산까지 이어지는 서울의 남북녹지축과 동서수경축인 한강이 만나는 중심에 위치
- 용산공원의 중심줄기도 남산~용산~한강으로 이어지는 생태축 연결로서 서울에서 개발되지 않고 남아있는 마지막 녹지공간
* 한강은 서울을 대표하는 상징경관으로서 한강 8경 등의 조망명소와 더불어 많은 역사문화적 자원 보유

4. 지난 120년간 단절된 도시공간 구조 재편
- 120년간 일·미군 주둔지로 지역간 단절 등 도시 기능상 문제 “통합적 공간구상 및 재구 조화 필요
- 용산미군기지는 기능적·공간적으로 단절되거나 훼손된 녹지축을 연결·복원할 수 있는 대규모 생태 및 경관의 중심 공간
- 공원 조성 및 주변 지역 개발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므로, 주변 지역을 포함한 공원시설에 대한 지속적 도시관리가 필요
5. 기개발된 도심지에 조성되는 대규모 공원
- 기개발된 도심지에 조성되는 대규모 공원으로서 계획적 정합성, 조화로운 도시경관의 형성, 주변지역과의 연계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음
- 용산공원으로 조성될 부지면적은 300만 제곱미터에 달하는데 용산공원 조성 특별법 상 복합시설조성지구와 관리가 필요한 공원주변지역을 포함한 용산구역 정비구역은 1,154만 제곱미터로, 이는 서울시 전체면적 605제곱킬로미터의 1.9%에 해당하는 상당한 규모
- 공원 내부의 국립중앙박물관, 한글박물관, 전쟁기념관과 주변의 안중근의사기념관, 백범 김구기념관 등의 각종 문화시설을 비롯하여 남산공원, 한강공원, 효창공원 등의 시민공원 이 자리하고 있음
역사 및 자연환경 측면
1. 근현대 세계사의 역사적 의미
용산기지는 단순히 대규모 공원이라는 공간적 측면의 가치를 뛰어 넘어 제국주의 시대로 부터 냉전시대에 이르는 근현대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그 장소의 의미가 큼
- 용산은 고려 말 몽고군의 병참기지로, 임진왜란이 발발하였을 때는 왜군의 보급기지로 이용되었으며, 청일의한 조선지배의 근거지
- 전쟁 이후 청나라군과 일본군이 주둔하였고, 러일전쟁과 함께 조선주차군사령부가 주둔하면서 일본의 무력에
- 이후 해방과 함께 미24군단 예하의 미제7사단이 일본군 기지를 접수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용산기지는
2. 군사기지에서 국가공원으로 변화
- 미군시대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외국군 주둔의 역사를 가지고 있음
- 용산공원 부지는 그 동안 ‘외국군 주둔지’, ‘치외법권 지역’으로 존재하며, 지난 120여 년간 서울의 역사에서 제외되었던 공간임
- 따라서 잃어버린 서울의 역사 회복, 서울시민들에게 잃어버린 땅을 반환하는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가 있음
- 지난 120년간에 걸쳐 군사기지로만 인식되어 온 이 지역이 공원으로 대변신하게 된 것은 1990년 한·미 양국간 군사시설의 이전에 합의를 시작으로 2006년 공원화 선포식 후 용산공원화 계획이 추진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음
3. 남산, 한강 등 자연환경 입지
- 남산(南山)은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에 걸쳐 있는 산으로서 높이는 해발 270.85m로서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서울의 상징적 경관
- 한강은 서울에서 가장 큰 도시 오픈스페이스로서, 서울시의 천만인구를 대표하는 상징공간 이자 삶의 중심공간
반응형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 용어 (사인, 코사인, 탄젠트 등) 어원 (0) | 2023.04.11 |
---|---|
아스파라거스 나누스 물주는법 분갈이 (0) | 2023.04.07 |
용산 한남재정비촉진지구(한남뉴타운) 재개발사업 정리 (0) | 2023.03.31 |
이사 후 꼭 해야하는 일 (전입신고, 주소이전) (0) | 2023.03.31 |
chatGPT에게 수익창출을 도와달라고 하면 뭐라고 할까?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