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기타

B2G 비즈니스에서 자주 놓치는 실무 포인트 총정리 (계약 전 꼭 확인하세요)

후운키 2025. 4. 9. 16:24
반응형

공공기관·지자체와 계약을 맺는 B2G(Business to Government) 비즈니스는 수익성과 안정성이 높아 많은 중소기업, 프리랜서, 개인사업자들이 도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행정적인 디테일을 놓쳐서 계약이 지연되거나 아예 무효가 되는 사례도 많죠.

 

이번 글에서는 B2G 실무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실수 포인트와 체크리스트를 정리해 드립니다.

입찰·수의계약 초보자라면 필독!

 


✅ 1. 필수 서류 누락으로 계약 지연

지자체나 공공기관과 계약을 진행할 때는 다음 서류들이 거의 필수입니다.

  • 사업자등록증, 통장사본
  • 인감증명서 또는 사용인감계
  • 4대 보험/국세/지방세 완납증명서
  • 공채매입필증 (계약 금액에 따라 요구됨)

💡 공채매입필증은 생소하지만, 지방자치단체 계약에서 자주 요구되는 항목입니다.


✅ 2. 피보험자/가입자 혼동으로 보증보험 발급 실패

선금보증보험이나 계약이행보증보험을 가입할 때,
보험가입자는 ‘내 회사’, 피보험자는 ‘계약을 맺는 공공기관’입니다.

 

✔️ 예:

  • 보험가입자: 홍길동디자인(개인사업자)
  • 피보험자: 김제시청장

※ ‘전주시’, ‘전주시청’, ‘전주시의회’처럼 정확한 명칭을 입력해야 발급이 가능해요.


✅ 3. 선금보증보험 미처리로 대금 지연

공공기관은 선금 지급 전 반드시 선금보증보험 가입을 요구합니다.
이 절차를 놓쳐서 대금 지급이 수주일~수개월 지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SGI서울보증, 현대해상, 한화 등에서 온라인 발급 가능
✔️ 공고문이나 계약서에 ‘선금 비율’과 ‘보증 요율’이 명시됨


✅ 4. 세금계산서 발행 시 고유번호 확인 누락

지자체나 교육청은 일반 사업자등록번호 대신 고유번호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홈택스에서 수탁자란에 고유번호 입력 후 전자세금계산서 발행해야 인정됩니다.

 

📌 잘못 발행하면 반송되거나, 대금 처리가 지연될 수 있어요.


✅ 5. 공고 해석 오류로 입찰 부적격

나라장터, 조달청 등에서 올라오는 공고문은 상당히 형식적이고 요약돼 있어서 경험이 없는 사람은 요구사항을 잘못 해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 “지명경쟁”인데 입찰을 신청함
  • 제안서 없이 가격입찰만 했는데 기술 평가 항목이 있음

💡 공고문은 한 번 읽고 끝나는 게 아니라, 최소 2~3번 정독 + 담당자 문의가 정석입니다.


✅ 6. 행정처리 타이밍 미숙으로 정산 지연

계약 후에도 끝이 아닙니다.


✔️ 납품 후 검수 요청
✔️ 계약 완료 보고서 제출
✔️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 공채매입필증 제출

 

이 과정 중 하나라도 늦어지면, 대금 지급이 한참 뒤로 밀릴 수 있습니다.


✅ 7. 지자체마다 관행이 다르다

예상외로 많이 놓치는 포인트!
서울시청, 충남도청, A군청, 교육지원청 등 각 기관마다 요구 서류, 표현 방식, 행정 속도가 다릅니다.

✔️ 담당자와 커뮤니케이션할 때 “다른 지자체는 이렇게 했어요” 식 표현은 지양하는 게 좋아요.
✔️ 각 지자체의 ‘회계/계약 부서’ 관행을 파악하면 업무 속도가 빨라져요.


✅ 마무리 체크리스트

☐ 계약 전 필수서류 완비 (사업자등록증, 인감, 통장, 완납증명서 등)  
☐ 선금보증보험/계약이행보증보험 정확히 가입  
☐ 고유번호 확인 후 세금계산서 발행  
☐ 공고문 정독 + 입찰 자격 재확인  
☐ 납품 후 행정서류 처리 일정 체크  
반응형